7가지 치명적인 죄(3) 분노 (민20:7-13) 말씀: 이재훈 목사님
오늘은 7가지 치명적인 죄, 세 번째 시간으로, [분노]에 대해 나누려고 합니다.
평소에 분노하지 않는 분들은 잘 모르지만, 분노가 [죄]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분노]는 단순히 ”감정의 문제“로 나타나는 게 아니라,
분노의 본질은 도덕적인 가치 판단으로 나타납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어서 도덕적인 존재로 태어났지만,
”분노하는 것이 옳고 그르다”는 것은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분노는 하나님이 우리 안에 “저항 할 수 있는 능력”을 넣어 주신 것입니다.
그래서 [분노의 뿌리]는 “하나님과의 사랑 안에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분노의 뿌리]는 이것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셨기에, 그 본질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태초에 우리 인간에게 거짓말을 하는 [뱀]을 보고, 인간이 분노했어야 하는데,
뱀이 하와를 유혹하려 할 때, 곧 바로 죽였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해, 꼬임에 빠져버린 것입니다.
그 때, 인간은 안타깝게도 선하고 정의롭게 사용하지 않아서, 분노가 외곡 되어 버린 것입니다.
인간은 분노해야 할 때 분노하고, 분노하지 말아야 할 때 분노하면, 안 됩니다.
때로는 하나님을 몰라도, 도덕적으로 제어 능력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에게는 “선한 분노”와 “악한 분노”가 같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분노]는 선과 악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데, 하나님의 분노는 “선한 분노”이지만,
우리들의 분노는 “악한 분노”입니다.
[분노]는 사람을 가리지 않습니다.
분노는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그것에 대해 악하게 작용하기도 합니다.
아무리 착한 사람이라도, 누구나 [분노]는 가지고 있습니다.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라도, 자신이 분노를 억 누르는 것이지, 분노를 모르는 게 아닙니다.
[분노]는 단순히 “개인적인 감정”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납니다.
[분노]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나타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숙제는 “내 안에 있는 분노가 선한 분노인지, 악한 분노인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 사람들은 어떻게 이것을 분별할 수 있습니까?
①첫째로, ”분노의 동기가 이기적인 분노인가?”, 아니면,
“내 안에 있는 분노가 하나님 나라의 일인가?”를 구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②둘째로, 그 동기가 이기적이지 않더라도, “십계명에 합당한가?“를 생각해서,
그게 아니라면, 분노가 일어납니다.
③셋째로, 분노를 필요로 하는 방식이 ”하나님의 성품에 닮은 것이냐?”, 아니면, 아니냐?
하나님의 분노는 하나님의 성품에 따라 달리 나타납니다.
시편 145편 8-9절 말씀을 읽으십시오.
“여호와는 은혜롭고 자비가 넘치시며 천천히 노하시고, 사랑이 크십니다.
여호와께서는 모두에게 선하십니다. 그분이 지으신 모든 것에 자비를 베푸십니다.”(시145:8-9)
[하나님의 분노]는 “분노하는 데도 노하기를 더디 하신다.“고 했어요.
우리는 내 안에 있는 분노가 ”더디 일어나는가?”, 아니면, “순간적으로 급하게 일어나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조금도 긍휼함이 없이, 나타나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악한 분노”는 긍휼이 없습니다.
그러나 “선한 분노“는 동기도 선하고, 그 방식도 선하고, 노하기를 더디 합니다.
그에 비하여, [우리들의 분노]는 언제나 급하고, 용서하지 않으며, 복수심에 불타고 있으므로,
그 분노가 진행되면서 점점 더 ”악한 분노“로 변합니다.
[우리들의 분노]가 아무리 ”선한 분노”라고 할지라도, 점점 더 복수와 저주로 악하게 흐릅니다.
오늘의 말씀인 민수기 20장 7-8절 말씀을 읽으십시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지팡이를 들어라. 그리고 너와 네 형 아론은 저 회중을 모아라.
그리고 그들의 눈앞에서 저 바위에다 말하면, 그것이 물을 낼 것이다.
너희는 그들을 위해, 물이 바위에서 나오게 해, 저 회중과 그들의 가축들이 마실 수 있게 하여라.
”(민 20:7-8)
여기를 주목해서 보십시오.
모세가 분노하여, 하나님에게 책망을 받았고, 그가 가나안 땅까지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것은 하나님의 의중을 잘못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왜, 이렇게 큰 문제로 삼았을까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때는 광야에서 38년을 보내고 있을 때이므로,
가데스 에서 머물면서 방랑의 기간을 보내는 시절이므로, 백성들은 목이 말라 한참 힘든 때이므로,
물이 없는 상황에 불평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럴 때에 하나님은 모세에게 응답했어요.
7-8절의 말씀은 불평하는 백성에게 하나님은 진노하지 않았어요.
“물을 달라“고 소리치는 백성들을 이해하고, ”물을 마시도록 하라“고 방법까지 알려 주셨어요.
하나님이 지시한 방법은 ”저 바위에게 말하면, 그것이 물을 낼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모세는 그렇게 하지 않고, 11절 말씀과 같이,
“지팡이를 들어, 두 번을 내리치니, 물이 많이 쏟아져 나왔다.”고 기록되어 있어요.
▶모세의 행동에 무엇이 문제인가요? 두 가지 문제가 있어요.
①첫째는, 하나님이 지팡이를 들고, 지팡이를 내려 쳤어요.
하나님은 “지팡이를 들고 말하라”고 했는데, 모세는 지팡이를 들고, 두 번을 내리쳤어요.
모세이니까 두 번을 내리쳤지만, 나 같으면, 서너 번을 더 쳤을 거예요.
▶하나님께서 모세를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한 두 번째 이유는 무엇입니까?
②둘째로, [모세의 분노]를 문제 삼아, [하나님의 거룩함]을 가리우지 않나, 염려 하셨어요.
모세의 분노를 문제 삼아, 하나님의 거룩함을 닮기 위해,
분노하는 모세를 가나안 땅으로 들어 쓰시지 않았어요.
만약에, 우리가 분노함으로, [하나님의 거룩함]을 가린다면,
그것은 죄가 들어 있는 “악한 분노“일 것입니다. 아무리 동기가 선하다고 해도, 분노를 일으키면, 안 됩니다.
역사를 변화시킨 분노는 ”악한 분노“가 아니고, ”선한 분노“입니다.
[3.1절의 분노]가 그런 분노입니다.
▶여기서 모세의 인생을 살펴봅시다.
모세는 40세까지 왕궁에서 자라다가 이집트 노예를 죽였어요.
그 때부터, 모세는 동족을 구하려고 “선한 분노”를 일으켰지만, 그에게 점점 더 분노가 커졌고,
드디어 모세는 하나님의 돌 판을 깨드렸고, 그것을 부셔서 가루로 마시게 했어요.
모세의 생애를 살펴보면, 모세는 때때로 자주 분노했고, 성질을 자주 부렸어요.
모세의 위치를 감안하면, 이런 분노는 지도자로써, 결정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게 분노하는 모세의 얼굴은 마치 하나님이 그렇게 분노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결정적으로 문제가 되고, 모세와 같은 지도자의 위치에 서게 되면, 더 큰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의 생각으로는 가나안 땅의 새 지도자로 모세가 합당하게 보이지 않았기에,
“거기서 그만.“ 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결국, 그래서 모세는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우리 안에 분노도 “노하기를 더디 하는 분노”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성령 안에서, 우리를 절제하는, [거룩한 절제]가 나타나야 합니다.
▶[분노]의 특징은 어떤 것입니까?
1. 첫째로, [분노]에 사로잡히면, 어리석은 언행을 저지릅니다.
특히 [분노]를 참지 못하고, 바보 같은 짓은 흔히 가정 안에서 많이 일어납니다.
사람들이 보지 않는 안전한 장소이고, 부인과 남편이 한평생 사는 <나의 식구>라 그런지 몰라도,
우리는 밖에서 상상할 수 없는 감정의 폭발을 집에서 많이 합니다.
최근에는 10대 자녀들이 부모를 대하는 태도가 감정적이고 너무 무례 합니다.
가정 심리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부모와 자녀의 성별이 같으면 더욱 심하다"고 합니다.
가령 딸이 어머니한테, 아들이 아버지한테 대드는 것이 정도를 지나치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가 능력이 없는 경우, "자녀들이 노골적으로 분노를 터뜨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2. 둘째로, [분노]를 자주 일으키는 사람은 혼자서 <고립>됩니다.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는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기 주위에 사람이 모이지 않습니다.
말년에 사울 왕 같은 사람들은 자기 아들한테 창을 집어던질 정도의 사람이었으니까,
주위에 좋은 사람들이 다 떠나갑니다.
우리가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다면, 우리의 주위에도 사람들이 다 떠날 것입니다.
3. 셋째로, [분노]를 일으키면 건강도 나빠집니다.
의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병들의 60% 이상은 "감정적 스트레스" 때문에 병이 오는데,
이 중에 특히 "격발하는 감정"의 [분노]가 주원인이라고 합니다.
▶그럼, [분노]의 감정이 치밀어 오르면, 어떻게 치료합니까?
전문 상담가의 말에 의하면, <분노는 참지 말고, 폭발하라>고 알려 줍니다.
전문 상담가는 <어떤 화풀이 할 대상을 찾으라.>고 권합니다.
그러면서 운동으로 스쿼시나 라켓볼을 권합니다.
미워하는 상사를 생각하며 <볼을 치면, 좀 풀린다>고 합니다.
아니면 빈방에 들어가서, 사정없이 소리치며 <욕을 하라>고 권합니다.
그러면 “그 스트레스가 좀 풀린다.”고 합니다.
[돌]은 결코 소화되지 않습니다.
[분노]의 감정을 그냥 삭일 수 없습니다. 삭히다가 한이 되고, 병이 됩니다.
그래서 그것이 <불면증>이 되고, <우울증>이 되고, <대인기피증>으로 발전합니다.
이런 사람의 마음속에는 [기쁨]이 사라집니다.
[분노]는 무서운 [죄]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내가 화를 내는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분노]의 본질은 바로 “죄의 본질”과 같습니다.
현대인은 [내가] 중요한 것입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으면, 분노합니다.
내 속에 내가 너무나 많아, 다른 사람이 들어가 쉴 곳이 없습니다.
모두 다 "나만" ( = 자기만)을 내 세웁니다.
여러분, 사랑하는 마음이 [분노]를 씻어내 줄 것입니다.
여러분의 가슴에 하나님의 <사랑>이 흘러 들어가게 하십시오.
그렇게 풍성한 하나님의 사랑을 느낄 때, 당신의 가슴속에 있는 [분노]는 사라질 것입니다.
여러분의 마음에 이런 [분노]가 사라질 때,
여러분들은 “예수님을 마음”을 품게 되고, 예수님을 닮아가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주일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가지 치명적인 죄 4, 나태, (마25:14~30) (0) | 2019.07.21 |
---|---|
삶으로 아멘 하는 곳 (롬12:1-2) 2019.07.14 (0) | 2019.07.14 |
7가지 치명적인 죄(2) 시기 고전3:1~8) 2019.06.30 (0) | 2019.06.30 |
7가지 치명적인 죄(1) 교만(눅18:9-14) 2019.6.23 (0) | 2019.06.23 |
인생은 계절과 같다 (시1:3) (2019.6.16) (0)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