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9일 금요일
사무엘하 5:1~10 하나님의 뜻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말씀요약:
다윗이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되는 것과 예루살렘 정복에 대한 말씀이다.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가 헤브론으로 올라왔다.
다윗이 왕이 될수 밖에 없는 이유들을 몇 가지 이야기 하면서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온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으로 세웠다.
다윗이 30세에 왕이 되어서 40년을 다스렸는데
헤브론에서 7년 6개월 예루살렘에서 33년을 다스렸다.
또 다윗은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천도(遷都)를 한다.
여부스 사람들이 거하던 철옹성 같던 예루살렘을 하수구를 통하여 성으로 들어가서
예루살렘을 빼앗고 시온 산성을 다윗 성이라고 부른다.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함께 계시니 다윗이 점점 강성하여 간다.
말씀묵상:
이스보셋의 죽음으로 남 북으로 나누어졌던 유다와 나머지 11지파의 이스라엘이
동족상잔 내전의 비극과 모든 권력을 향한 암투와 권력에 대한 쟁탈전은 끝나고
오래 전에 여호와께서 다윗에게 기름부었듯이 자연스럽게 이스라엘의 전체 통치권이
다윗에게로 넘어 오는 모습이 본문의 내용이다.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가 헤브론에 모인다.(1)
이스보셋을 중심으로 모였던 북 이스라엘은 새로운 지도자가 필요했고
지난 번에 아브넬이 모든 장로들을 설득한 것과 같이 다윗의 왕권은 이미
하나님이 선택한 것이고 사울의 친족인 베냐민도 인정하는 부분이였다.
따라서 온 이스라엘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다윗을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
다윗을 왕으로 추대하려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첫째 우리는 다윗과 골육이다(1)라고 설득한다.
우리는 왕과 핏줄을 같이한 형제들이라는 말씀이다.
왜냐하면 헤브론에는 아브라함의 무덤이 있고 그들 모두는 아브라함의 혈통이다.
실제 12지파 모두는 야곱의 아들들에서 12지파가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사울이 왕 일때에도 실제로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휘한 자는 다윗이라는 것이다.(2)
실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서부터 아말렉, 블레셋과의 전쟁마다 다윗이 승리했다.
사울은 인정을 못했는지 몰라도 이미 백성들은 다 알고 있다.
민심이 천심이라는 말씀이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것 같다.
세째 가장 중요한 이유인 것 처럼 보인다.
여호와께서 왕에게 이스라엘의 목자와 주권자가 되리라 하셨기 때문이다.(2)
정치적인 이유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라고 모든 백성이 이야기 한다.
매우 합리적이고 참으로 타당한 이유들을 들어서 새로운 시대에 새 왕으로 추대한다.
이스라엘의 모든 장로들이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온 이스라엘의 왕으로 삼았다.(3)
다윗은 벌써 3번째 기름부음을 받는다.
첫째는 사무엘 선지자에 의해서 목동 시절에 기름부음을 받았고
둘째는 유다 지도자들에 의해서 (삼하2:4) 유다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았고
세째는 지금 온 이스라엘 장로들에 의해서 전체 이스라엘을 다스릴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는다.
다윗은 30세에 왕이 되어서 약40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4)
헤브론에서 7년 6개월 동안 유다를 다스렸고(5)
예루살렘에서 33년 동안 유다와 이스라엘을 포함한 전체 이스라엘을 다스렸다.(5)
이생의 막내 아들로 목동을 하던 시기에 사무엘 선지자에 의해서 기름부음을 받았지만
참 오랫 세월동안 사울에게 시험을 받고 광야에서 시련을 격고 오래 기다렸지만
하나님의 뜻은 더딘 것 같지만 반드시 이루어 진다. 아멘.
인내의 시간을 통하여 내면의 야망과 욕심과 불순물을 다 제거한 이후에
깨끗하고 거룩하게 만든 다음에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사용하시는 모습이다.
당신이 세우기에 원하는 곳에 합당한 모습으로 준비 되어지게 하옵소서. 아멘.
또 다른 한 스토리가 이어진다. 예루살렘 정복에 대한 말씀이다.
예루살렘은 삼면이 깊은 계곡으로 둘려쌓여 방어하기에 천연요새이다.
그래서 여호수아와 갈렙 같은 장군들도 예루살렘의 여부스 족을 쫓아내지 못한 곳이다.
그러나 다윗은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천도를 할 계획을 실행한다.
왜 다윗은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수도를 옮기려고 하는가?
첫째 헤브론은 유다 지파의 중심이긴 하지만 이스라엘 전체의 중심이 아니다.
남쪽에 치우쳐 있는 수도를 이스라엘의 중심부인 예루살렘으로 결정 한 것 같다.
둘째 예루살렘이라는 위치는 성 전체가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지형이다.
말하자면 천연 요새에 가까운 곳이다.
세째 예루살렘 동쪽 기드론 골짜기에는 기혼 샘이 있어서 충분한 수원을 확보 할 수 있다.
네째 예루살렘은 유다(다윗)와 베냐민(사울)지파의 경계 지역이기 때문에
두 지파간의 갈등 해소와 전 이스라엘의 화합을 도모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이다.
다섯째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하기에도 가장 적합한 장소였다.
이런 여러가지 이유로 다윗은 수도를 옮기고자 결심하고 실행한다.
여부스 사람들은 예루살렘의 성벽을 의지하고 큰 소리 펑펑친다.
너희가 절대로 못 올라 올 것이다. 장님과 절뚝발이라도 너희들을 막을 수 있다(6)고 한다.
그러나 이 철옹성 같은 예루살렘에도 헛점은 있다.
바로 하수구 였다.(8)
다윗은 하수구를 통하여 예루살렘에 들어가서 장님과 절뚝발이를 쳐라(8)고 명령했다.
그래서 장님과 절뚝발이는 여호와의 집에 들어 오지 못한다는 속담이 생겼다.(8)
철옹성 같은 성벽을 의지하는 여부스 사람들의 어리석음과
하수구라는 헛점을 이용하는 다윗의 지혜 너무나 대비가 된다.
예루살렘을 빼앗고 시온 산성을 다윗성이라고 부른다.(9)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함께 계시니 다윗이 점점 강성하여 간다.(10) 아멘.
하나님 아버지
주님과 함께 계시니 점점 더 강성해져 가는 모습을 봅니다.
주님과 함께 계시니 이스라엘의 모든 장로들이 찾아 옴을 봅니다.
주님과 함께 계시니 당신의 뜻이 이루어 짐을 봅니다.
주님과 함께 계시니 철옹성 같은 예루살렘의 성도 하수구라는 헛점을 찾을 수 있고
주님과 함께 계시니 장님과 절뚝발리로도 막을 수 있다던 성읍을 점령함을 봅니다.
주님과 함께 함이 인생의 승리이고
주님과 함께 함이 나의 삶 되도록 역사 하옵소서.
다윗과 함께 하셨던 하나님 나와도 함께 하심을 찬양합니다.
임마누엘 되시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사무엘하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궤를 메어 오려 하니(삼하6:1~15) (0) | 2014.05.11 |
---|---|
여호와께 물어 가로되 (삼하5:11~25) (0) | 2014.05.10 |
여호와의 이름으로 하는 거짓말 (삼하4:1~12) (0) | 2014.05.08 |
어떻게 오해를 푸는가? (삼하3:28~39) (0) | 2014.05.07 |
사람을 대하는 방법 (삼하3:17~27) (0) | 201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