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QT

손해 배상법 (출22:1~15)

다이나마이트2 2012. 5. 18. 23:45

2012년 5월 18일 금요일

출애굽기 22:1~15 서로 배려하고 신뢰하는 공동체

 

10계명 이후에 계속해서 하나님은 율법의 세칙에 대해서 조목조목 말씀해 주신다.

남자 여자 종에 대한 법(출21:1~11)

폭행에 관한 법(출21:12~27)

물질적인 손해 배상법 (출21:28~36)을 말씀해 주셨다.

 

오늘도 계속해서 손해 배상법에 대한 말씀이다.

오늘도 크게 3가지 정도의 말씀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 같다.

1. 소나 양을 도적질하여 잡거나 팔았을 경우(1)

   1) 소 한 마리에 소 다섯 마리로 배상(1)

   2) 양 한 마리에 양 네 마리로 배상(1)

 

소나 양이나 같이 한 마리씩 도둑질 했으나 소는 5배 양은 4배로 갚는다.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 일률적이지 않다.

하나님은 법율에 공평하지 않으신 하나님 이신가?

고대 사회나 지금이나 소는 양 보다 훨씬 큰 동물이고 더 소중한(?) 값어치 있는 것이다.

더 값어치 있는 것은 더 귀중하기 때문에 더 많은 댓가를 지불하라 하신 것 같다.

 

이미 하나님은 앞에서 10 계명 가운데 8계명으로 도둑질 하지 말라고 명하셨다.

대전제로 도둑질하지 말라고 하셨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반복해서 말씀하신다.

이런 율법을 주신 목적은 행동을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기준 즉 사회의 공정성과 안전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하나님의 도덕적 기준은 내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높다.

도둑질하고 안 잡히면 그만이고 잡히더라도 I AM SORRY라고 말하면 그만이고

속으로는 재수없이 걸렸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 나의 도덕인데....

 

여리고 성의 키 작은 여리고 세무서 서장 삭개오가 예수님을 만나고 난 이후에(눅19:2)

예수님 앞에서 자기 소유의 절반을 가난 한 자에게 주며

자기가 다른 사람의 것을 억지로 빼앗은 것이 있다면 네 배로 갚겠다고 말한 것이

아마도 이런 법에 근거한 말씀인가 보다.

 

2. 짐승을 놓아서 남의 밭이나 포도원을 헤친 경우(5)

- 자기 밭의 제일 좋은 것과  포도원의 제일 좋은 것으로 배상해 주어야 한다.(5)

 

밭에 불을 놓았는데 남의 밭에 있는 농작물을 태운 경우(6)

- 불을 놓은 자가 반드시 보상한다.

 

어찌보면 책임이 없는 일 인것 같고 분명히 의도하지 않은 일 인것 같은데도

하나님은 책임을 회피하거나 변명하거나 하지말고 피해 보상을 하라는 말씀이다.

나의 과실에 대해서 내가 책임을 지자.

회피하거나 변명하지 말자. 아멘.

 

3. 돈이나 물품을 보관해 달라고 이웃에 맡겼는데 도둑을 맞은 경우(7)

- 도둑이 잡히면 그 도둑이 두배로 배상(7)

- 도둑이 안잡히면 집 주인이 재판장 앞에 가서 조사를 받음(8)

 

분실한 물건에 대해서 소유권에 시비가 붙으면(9)

- 상방이 모두 재판관에게 갈 것이요(9)

- 재판관이 죄가 있다고 선언한 사람은 상대에게 두 배로 배상(9)

 

가축을 이웃에게 맡겼는데 죽거나 상하여도 본 사람이 없으면(10)

- 맡은 자가 이웃의 것에 손을 대지 아니했다고 여호와로 맹세함(11)

   임자는 그대로 믿어야 하고 배상은 없다.(11)

 

- 맡은 짐승을 도둑 맞았으면(12)

  임자에게 두배로 배상(12)

 

- 맡은 짐승이 맹수에게 찢겨 죽었으면(13)

  증거물을 가지고 와야하고 배상은 없음(13)

 

- 이웃에게 짐승을 빌려 왔는데 죽은 경우(14)

  임자가 함께 있지 않았으면 반드시 배상(14)

  임자가 함께 있었다면 배상하지 않음(15)

 

참 여러가지 다양한 경우의 가정들이 있다.

중요한 것은 이웃을 먼저 배려하라는 말씀이다.

또 신뢰를 바탕으로 해결하라는 말씀이다.

 

서로 배려하고 신뢰하는 공동체는

보상과 신의와 신용에 대한 문제이다.

배려와 존중하는 태도를 더욱 익히자. 아멘.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여러 경우의 손해 배상법을 봅니다.

도적질한 짐승은 몇 배로 갚아야 함을 봅니다.

고의는 아니지만 짐승의 실수에도 최고로 좋은 것으로 배상함을 봅니다.

남의 밭을 태워도 가장 좋은 작물로 배상해야 함을 봅니다.

맡긴 물건이나 짐승을 도둑맞은 경우에도 결백한 증거를 찾지 못하면

배상하는 규정들을 봅니다.

나의 도덕적 가치관과는 큰 차이가 있음을 봅니다.

값싼 구원을 노래 할 것이 아니라

영적 도덕적 윤리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성령님 도와 주옵소서.

거룩하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