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 관련

2012년 양재 일대일 사역팀 방향(안)

다이나마이트2 2011. 11. 13. 21:43

 

2011년 11월 12일(토) 오후 4시부터 저녁 9시까지 양재 일대일 사역팀에서는 송영동 목사님을

포함한 부서장님들이 2012년 양재 일대일 사역팀 운영방향에 대한 열틴 워크숍이 있었다. 

토론안건

1. 각 부서의 개선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 공동체 새가족 연결사역     

    - 양육자반 운영

    - 수료예배 운영방안

    - 양육교육개발 프로그램 운영

     - 대청 및 대외운영

     - 본부와의 협력방안 및 2012년 주요행사


2. 우리의 사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계

     (부서 구성, 각 부서의 역할 및 기능, 적임자 등)


3. 2012년 사역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

     (비전 및 미션, 주요 실행계획)

 1. 교회나 성도가 일대일을 DNA로 생각하고 있나?

   담임목사님의 의지,

   신임 교역자의 일대일에 대한 소개와 경험기회 제공(경험있는 목사님이 체계적)


2. 일대일 의사결정 조직이 다원화

   최종적 의사결정은 담임목사님이 할 수 있도록


3. 일대일의 2 축 : 양육과 연결

   공동체에서의 일대일사역의 위치

   경험 많은 양육자가 업그레이트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음

4.  공동체에서 일대일을 자율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목사님 의견 참조)

    일대일 사역팀의 역할 변화 : 공동체가 일대일을 잘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지원

    예) 이단, 보도자료 제공하는 역할 등

   -  공동체에서 양육자반을 개설 운영( 년초에 아이스쿨 등록), 본부1~2 만 개설( 주일)

   -  수료예배 연락 - 공동체가 하도록

   -  도우미 역할도 공동체에서 권사님, 집사님( 목사님이 지정)

   -  양육자반 수료자 명단을 주어 동반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것을 공동체에서  해야

   -  양육자반 장소도 해당 공동체에서 지역별로 소싱

   -  공동체에서 일대일사역의 중요성을 스스로 느끼게 하자

   -  공동체별로 양육자반 개설수의 편차가 있을 수 있다 (미니공동체)

   -  공동체에서 하게 되면 관대화 경향으로 철저한 관리가 안 될 수도 있다

     ( 원하는 공동체를 먼저 시범적용 후 전면 도입하는 방식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5. Power-Up 은 양재가 주관이 되어 서목사님께 설명을 드려야 (팀5명 정도 정리, 확정)

   목사님, 한복규, 장로님, 손기완, 박장우 (11.19 토요일 오후4시)302호

6. Wake_up, Build-up, Power-up

   -  추진방법

     [ 방법1]  프로젝트로 만들어 하자 (계획에 대해 담임목사님 승인 후 교회차원에서)

     [ 방법2] Long term 보다는 12 월 중에 끝 내는게 좋겠다


     사역팀  역할

        -  개강/ 종강PT 지원

        -  공동체별 양육자반 일정표

        -  평신도 사역자가 운영하는  반

        -  새로운 변화에 따른 공동체에서 할 일대일 매뉴얼 작성

     공동체의 역할 (16개 성인공동체)

        -  년2회 운영안 제출, 목사님이 7월~8월은 양육자반을 빼달라


8.  공동체 일대일 활성화(양육자반 운영방법, 연결) 결정

   1 안)  내년 초 시범적용 후 전면도입

         [ 장점]  접근이 용이, 점진적으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시간 확보가 가능

         [ 단점]  분위기 조성 어렵다. 어짜피 다해야 하는데 2개안을 다 준비.

                  담당목회자가 말 못할 어려움이 있음

  

   2 안)  내년1월 전면도입  

         [ 장점]  한번에 할 수 있다

         [ 단점]  리스크가 많다. 우리 내부에 많은 변화와 준비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공동체 총무나 목사님이 사명을 갖고 준비하는데 시간이 부족하다

                  공동체별 편차가 있어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 1 안이든 2 안이든 공동체 목사님이 하는 것은 도우미(연결, 양육)는 공동체에서 해결

   [ 유의사항] 공동체 입장에서의 효율성이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되어야 함.

                  사역팀에서 매뉴얼 작성

                  단2 해야 하는데 1번은 중앙에서 할 수도 있다

                  담임목사님 승인하에 공감대와 스폰서십을 받아 해야 함.

                  공동체 양육총무 운영. 공동체(운영위)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것임

    타캠퍼스는 사역팀에서 양육자반을 운용   

 

       프로젝트팀  구성 :  Project Manager?  송영동  목사

                             프로젝트팀원?  박현규  장로,  신호식,  김경학,  이재완,  김태열,  김종호

     프로젝트  추진일정 : 11.19  토요일  오후 4 시 (301 호)

     프로젝트  최종산출물 :